행복은 성적순이잖아요 '조작된'
페이지 정보

본문
행복은 성적순이잖아요 '조작된' | ||||||
이게 교육적입니까? 비교육적입니까? 성적을 매기는 각종 장치들이 과연 올바로 작동하고 있습니까? 신뢰할만 합니까? 대답은 '아니오'입니다. 고려대에서 내신성적을 무시하고 고교 등급제를 적용해 학생을 선발한 것은 이른바 '내신성적'이라는 것을 신뢰할 수 없다는 얘기입니다. 이번 일제고사 성적발표에서도 드러났듯이 외고, 특목고가 밀집해 있는 강남지역의 아이들은 확실히 높은 성적을 받았습니다. 돈많은 부모들이 자기 아이들을 문제 푸는 기계로 만드는 사교육 시장에 돈을 꼴아 박은 결과일 것입니다. 그러니 같은 내신 1등급이라도 학교와 지역에 따라 다를 수 밖에 없다는 게 백일하에 드러났고, 이건 모든 국민이 다 알고 있는 얘기였습니다. 그래서 고려대처럼 '고교등급제'로 가야합니까? 아니죠, 내신을 신뢰할 수 없다면 내신을 폐지하면 됩니다. 그렇다고 본고사를 부활시키자는 게 아닙니다. 과거 본고사 시절 국,영, 수 중심의 학업 능력이라는 게 현대 지식정보사회가 요구하는 그런 창의적 인간을 변별하는 능력일 수는 없지 않습니까? 다시 '성적'이라는 문제로 돌아 올 수 밖에 없습니다. 사람의 능력을 이른바 '성적'이라는 단일한 지표로 객관화 할 수 있는지 의문입니다.
지적 능력, 인문학과 자연과학적 소양의 총합 인문학적 소양에 대한 성적이라는 게 0.01점의 석차로 나뉘어(저들은 이걸 '변별'이라고 합니다) 질 수 있는 것일까요? 변별할만한 유의미한 격차도 아닌 걸 억지로 서열화하려는 과정에서 무리수가 발생합니다. 애초에 평가할 수 없는 걸 평가하려 한데서부터 문제가 발생한 것이지요.
저들이 만들어 놓은 성적순이라는 평가 시스템은 무의미할 정도의 사소한 성적 차이가 인생 전체를 뒤흔들어 놓는 기괴한 질서입니다. '성적' 자체가 물신화하고 이 물신을 숭배하는 사교육 시장이 광적으로 팽창합니다. 이 버블시스템에서 0.01%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학생과 부모가 패배자가 됩니다. 나아가 국가의 교육 경쟁력도, 우리의 미래도 모두 버블처럼 꺼져버릴 것입니다. |
- 이전글비정규직 임금뜯어 9백억 전용비행기 09.02.23
- 다음글28일 서울 상경집회 관련 서울지방노동청 관련 보고 09.0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