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고는 돈으로 남발, 파업은 힘으로 막아
페이지 정보

본문
해고는 돈으로 남발, 파업은 힘으로 막아 | ||||||||||||
[이명박 vs 노동자②] 18대 국회, 노동관련법 어떻게 개악되나? | ||||||||||||
"민주노조 운동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한 자본가 정권의 노림수다." 울산 현대미포조선에 근무하는 김석진(45)씨는 노동부가 추진하는 ‘부당해고 금전보상제’에 대해 이같이 말했다.
그는 사내에 노조 소식지를 뿌리고 고의로 잔업을 시키지 않는 상사에게 '바른 말' 했다는 이유로 '명예훼손' 등의 이유로 해고돼 대법까지 가는 끈질긴 투쟁 끝에 '부당해고' 판정을 받아 지난 2005년, 8년 만에 복직돼 널리 알려진 인물이다.
또 첨예한 현안인 비정규직법에 대해서는 "노사가 각자 입장에서 비정규직법 보완을 지속적으로 제기하고 있는만큼 사용기간 및 파견허용업무 조정 문제, 사내하도급 근로자 보호방안 등 노사간 주요 쟁점사항을 패키지로 묶어 사회적 공론화 과정을 거쳐 법 개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그간 재계가 제시한 기간제, 파견법 등 관련 주요 쟁점 사항에 대해 올해 말까지 노사정 논의 공론화를 거쳐 보완 방안을 마련해 09년에 입법화를 추진할 계획이다. 이어 복수노조 및 노조전임자에 대해서는 올해 정기국회에서 법 개정안을 제출하고, 노동조합 설립, 부당노동행위, 각종 신고의무 관련 제도개선 등 집단적 노사관계 제도개선은 09년에 입법화한다. 이렇듯 노동시장의 유연성은 강화되지만, 헌법에 보장된 노동자의 파업은 더 어려워질 전망이다. 노동부는 노사 관계 핵심 갈등 요인인 공공부문개혁, 비정규직 문제, 산별교섭 문제 등에 대해 유형별로 체계적 대응방안을 마련해 불법행위 발생시 엄정 대처하겠다고 천명했다. 또 이 대통령이 지난 대선 당시 공약으로 제시했던 지역주민이 참여하는 '노사민정 협의체' 구성과 '무파업 지역 지방교부세 지원' 방안 취지를 이어받아, 노동부는 노사협력이 잘되는 사업장을 선정, 세무조사·근로감독 면제 등 인센티브를 확대하고 노사민정 협의체를 추진할 예정이다. 법무부, '헌법'마저 어기며 이명박 코드 맞추기 이에 질세라 노동부와 경쟁을 벌이듯 법무부 또한 "최종적으로 노사간 교섭 결렬선언 후에야 파업 찬반투표를 실시하도록 법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나서 ‘망신’을 당했다. 법무부 권한 밖 노동쟁의 관련법 개정을 '헌법'마저 위배하며 대통령 '코드'에 맞추느라 노동부와 상의없이 추진하겠다고 공언해 물의를 일으킨 것. 법무부는 지난 달 19일 업무보고를 통해 ‘법질서 확립에 따른 경제 살리기’를 하겠다며, '떼법 청산'을 공언했다. 법무부는 법질서 파괴 행위에 대해 끝까지 책임을 묻는 ‘무관용 원칙’을 적용, 집회마다 참석해 '폭력을 일삼는 상습 시위꾼을 엄벌'하고, 불법파업에 대해 형사재판시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함께 판결하겠다고 밝혔다. 불법·폭력집회나 정치파업의 주도자는 물론 배후조종자도 추적해 처벌하며 경찰이 정당한 공무집행을 한 경우 면책범위를 넓게 보장해 시위대 검거에 공권력을 적극 행사할 방침이라고 한다. 반면, 기업에 대해서는 기업이 행정법규를 위반할 때 내는 각종 벌금형을 과태료로 전환해 부담을 덜어주고, 직원의 위법행위시 무조건 회사에 책임을 묻는 현행 양벌규정도 바꿔 회사의 감독상 책임이 있는 경우에만 책임을 물을 수 있게 하는 등 규제 완화에 힘을 쏟았다. 또 적대적 인수·합병이 일어났을 때 이사회 결의만으로 공개 매수자 외의 주주에게 신주를 싸게 발행할 수 있는 ‘포이즌 필’과 우호 주주에게 보통주보다 수십, 수 백배의 의결권을 가진 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차등의결권’ 제도를 둬 경영권 방어수단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같은 법무부의 보고는 이명박 대통령에게 '극찬'을 받아 화제가 됐으며, 재계는 "10년 숙원 사업이 하루아침에 풀렸다"고 반색했다. 여기에 경찰청도 힘을 보탰다. 지난 달 26일 난데없이 '경제 살리기 세미나'를 열어 논란이 되기도 했던 경찰청은 '백골단'을 부활시켰다. 경찰청은 지난 달 15일 대통령 업무보고에서 △체포전담반 신설 △가벼운 공무집행 방해도 무관용 원칙 적용 △불법시위에 민사상 손해배상도 청구 △훈방 대신 즉결심판 △불법 시위 단체에 정부보조금 지급 제한 등을 공언했다. |
- 이전글늦은 시작 (노래) 08.04.18
- 다음글新공안정국, 이명박 대통령 당선 후 노동자 24명 구속 08.04.1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